아동 복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동 복지는 아동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 노력과 관련된 개념이다. 아동 노동, 아동 학대, 아동 위험 방치, 영아 살해 등 아동이 겪는 다양한 문제와, 국제기구 및 각국의 아동 보호 노력을 다룬다. 국제노동기구(ILO), 유엔아동기금(UNICEF) 등의 기구는 아동 권리 증진을 위해 활동하며, 유럽, 영국, 일본 등 각국은 관련 법률과 제도를 마련하여 아동을 보호하고 있다. 대한민국 역시 아동복지법 등을 통해 아동의 권리를 보장하고 아동 학대 예방에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사업 - 유진 벨 재단
유진 벨 재단은 스티븐 린턴이 설립한 단체로, 북한의 결핵, 특히 다제내성 결핵 치료를 위해 의약품, 진단 장비, 치료 상담 등을 지원하며 북한 보건성과 협력하여 12개 치료 센터를 운영한다. - 사회사업 - 회복적 정의
회복적 정의는 범죄 피해의 복구, 가해자의 갱생, 공동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피해자와 가해자를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가 피해 사실을 논의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형사 사법 시스템과는 다른 접근 방식의 과정이다. - 아동 복지 - 최기식
최기식은 1980년대 초 광주민중항쟁 관련 수배자와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범인을 숨겨준 혐의로 구속되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1983년 광복절 특사로 석방된 대한민국의 천주교 신부이다. - 아동 복지 - 보육원
보육원은 가정 양육이 어려운 아동을 보호 양육하는 시설로, 아동복지법에 따라 운영되며 영아원과 육아원으로 나뉘고, 시설 환경 개선, 아동 학대 방지, 자립 지원 강화 등의 과제에 직면하며 다양한 대안적 양육 방식이 모색되고 있다. - 아동 권리 - 아동 노동
아동 노동은 18세 미만 아동의 경제 활동을 의미하며, 건강, 안전,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노동으로, 산업혁명 시대부터 현재까지 빈곤, 교육 부족, 문화적 요인 등으로 인해 국제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지속되고 있다. - 아동 권리 -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은 18세 미만 아동의 생존, 발달, 보호, 참여에 관한 권리를 규정한 국제 인권 조약으로, 아동을 권리의 주체로 인정하고 아동 최상의 이익 원칙을 강조하며, 대한민국은 1991년 비준했으나 일부 조항에 대한 유보를 유지하고 있다.
아동 복지 | |
---|---|
아동 복지 | |
정의 | 아동의 행복과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 |
목표 |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 도모 아동의 잠재력 최대한 발휘 모든 아동이 차별 없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 환경 조성 |
관련 개념 | |
유사 개념 | 아동 보호 아동 권리 가정 복지 |
포함 영역 | 아동 양육 지원 아동 교육 지원 아동 건강 관리 아동 보호 서비스 아동 권리 옹호 |
주요 내용 | |
아동 양육 지원 | 보육 서비스 제공 양육 수당 지급 가정 위탁 보호 지원 |
아동 교육 지원 | 유아 교육 및 초등 교육 지원 방과 후 활동 지원 특수 교육 지원 |
아동 건강 관리 | 예방 접종 및 건강 검진 지원 의료비 지원 정신 건강 증진 사업 |
아동 보호 서비스 | 학대 아동 보호 미아 보호 가출 아동 보호 |
아동 권리 옹호 | 아동 학대 예방 캠페인 아동 권리 교육 아동 정책 모니터링 |
관련 법률 및 제도 | |
대한민국 | 아동복지법 영유아보육법 아동수당법 초·중등교육법 |
일본 | 아동복지법 아동학대방지법 |
국제 |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UNCRC) |
관련 기관 | |
대한민국 | 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체 아동보호전문기관 육아종합지원센터 |
국제 | 유니세프 (UNICEF) 세이브더칠드런 (Save the Children) |
과제 및 전망 | |
주요 과제 | 아동 복지 예산 확대 아동 복지 전문 인력 양성 아동 복지 서비스 질 향상 아동 권리 인식 개선 |
미래 전망 | 아동 중심의 사회 시스템 구축 모든 아동이 행복한 사회 실현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가족 복지 사회복지 아동학대 아동 권리 |
기타 | |
참고 문헌 | (일본어) 中村 強士 (나카무라 츠요시), 「子ども家庭福祉」概念の検討 ( "아동 가정 복지" 개념 검토), 불교대학대학원 기요 사회복지학연구과편 37호 |
2. 아동청소년이 겪는 문제
아동청소년은 아동 성학대, 아동 방임, 신체적 학대, 정신적 학대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한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에 노출된 아동들을 위해 아동센터를 통한 지원, 경찰력 동원, 입양 등의 해결책을 제공한다.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가 2014년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동의 범주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57]
해당 범주 |
---|
집단 따돌림 또는 사이버 폭력 피해 아동 |
여성 할례 또는 강제 결혼 피해 아동 |
방임 또는 학대 피해 아동 |
성적 학대/착취 피해 아동 |
인신매매 피해 아동 |
양육권 분쟁 (부모에 의한 아동 유괴 포함) 영향을 받는 아동 |
소수 민족 집단 (예: 로마) 소속 아동 |
일자리를 찾아 다른 EU 국가로 이주한 부모에게 남겨진 아동 |
이주 상황에 놓인 아동 |
사법 절차 진행 중인 아동 |
빈곤 상황에 있거나 빈곤 위험에 처한 아동 |
경찰 구금 또는 유치 중인 아동 |
수감 또는 구금된 부모의 아동 |
장애 아동 |
부모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아동/대안적 보호를 받는 아동 |
의무 교육 또는 훈련을 받지 않거나 법적 근로 연령 미만의 근로 아동 |
실종 아동 (가출 아동, 유괴된 아동, 동반자 없는 실종 아동 등) |
이주 상황에 놓인 동반자 없는 아동 |
일부 국가에서는 아동도 일반 범죄로 투옥될 수 있으며, 이란이나 중국 등에서는 범죄를 저지른 아동에게 사형을 선고하기도 한다. ( 미국에서는 2005년에 폐지) 소년병으로 징집된 국가는 포로가 될 가능성도 있다.
2. 1. 아동 노동
경제적 빈곤으로 인해 후진국,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아동이나 청소년이 노동에 내몰리는 경우가 많다. 아동 노동은 신체적, 정신적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고 교육 기회를 박탈하며, 성인이 되어서도 빈곤의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 아동 노동을 하는 사람 수와 그들이 겪는 어려움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힘들다. 2004년에는 최소 15억 명의 5세 이하 아동이 노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아동 노동은 아동이 시간제 또는 전일제로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발달에 해롭다. 아동 노동은 착취의 한 형태로 여겨지며, 많은 국가에서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19][20][21]
특히 빈곤국에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아동이 생존을 위해 강제로 노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아동 노동은 종종 위험하고 열악한 환경에서 발생하며, 미래 시민으로서 받아야 할 교육을 저해하고 성인이 되었을 때 취약성을 증가시킨다.[22][23][24] 아동 노동으로 피해를 보는 아동의 정확한 연령과 수를 파악하기는 어렵다.[25] 2016년 기준으로 최소 명의 5세 미만 아동이 노동을 하고 있지만, 가사 노동은 집계되지 않아 실제 수치는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26] 정확한 통계를 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2. 2. 아동 학대
아동 학대는 권력 남용, 즉 의도하지 않은 목적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것을 포함한다.[46][47] 여기에는 고의적인 방임, 즉 의도된 목적으로 권력을 행사하지 않는 것을 아는 것도 포함된다. 이것이 아동 학대가 권한을 부여받은 신뢰의 위치를 악용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이유이다.[48][49] 아동 학대는 무력한 아동에게 해를 끼치는 모든 유형의 가혹한 대우나 학대를 의미하며, 신체적 학대, 성적 학대, 정신적 학대, 아동 방임 등이 있다.[52]- 신체적 학대: 아동에 대한 신체적 폭행 또는 폭력이다.
- 아동 성학대: 아동에 대한 성폭행 또는 폭력이다.
- 아동 방임: 아동을 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 그리고 아동의 기본적인 필요를 제공하는 데 있어 중대한 과실이다.
- 심리적 학대: 아동의 소망과 감정을 고려해야 할 때 아동의 필요를 가장 잘 충족시키는 제공을 결정해야 할 때, 아동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면서 아동의 소망과 감정에 따라 제공하지 않는 것이다.
아동 학대는 피해 아동에게 신체적 부상, 심리적 및 행동적 해를 포함한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며, 잠재적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53][54]
아동에 대한 보호자의 학대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며, 입양 프로그램, 사회적 지위, 차별, 조기 또는 원치 않는 임신 여부와 관계없이 발생한다. 입양된 아동은 친자녀보다 더 학대를 받을 수 있으며, 피부색에 따른 차별 또한 아동 학대의 요인으로 기록되어 왔다. 원치 않는 임신 역시 가정 내 긴장을 증가시켜 아동 학대로 이어질 수 있다.[55]
아동 학대를 해결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존재하며, 이러한 서비스는 기업이나 정부 기관에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에서 학대 사례를 발견하는 경우, 국가는 학대받는 아동을 위한 지원적인 가족 환경을 조성한다. 이는 아동과 가족을 돌보는 공공 및 사립 단체 모두에 대한 규제를 수반한다.[56] 아동 학대는 국가 또는 기타 보호자가 아동의 복지를 책임지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2. 3. 아동 위험 방치
아동 위험 방치는 아동의 건강 또는 생명을 해치는 상황에 아동을 방치하는 행위이다.[27] 이는 부모의 학대, 아동 방임 등 다양한 이유에서 비롯될 수 있으며, 아동에게 많은 부정적인 신체적, 정신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2. 4. 영아 살해
영아 살해는 영아 및 어린 아동을 고의로 살해하는 행위이다.[28][29][30] 역사 전반에 걸쳐 기록되었으며, 오늘날에도 특정 문화권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는 대개 빈곤 및 기타 사회적 압력의 결과이다.[31][32][33] 영아 살해는 부모, 친척 또는 낯선 사람이 행할 수 있으며, 여아는 남아보다 살해될 가능성이 더 높아 성별 기반 폭력의 한 형태로 간주된다.[34][35][36] 근친상간이나 강간의 증거를 은폐하기 위해 영아 살해가 사용되기도 하며, 남아 선호 사상이 있거나 자원이 부족한 문화권에서 가장 흔하게 행해진다.영아 살해는 오늘날 중국과 인도와 같이 극심한 빈곤과 인구 과잉 지역에서 훨씬 더 높은 비율로 계속 발생하고 있다. 여아는 특히 취약하며, 이는 성 감별 영아 살해의 한 요인이다.[43][44][45]
2. 5. 기타 문제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의 2014년 설문 조사에서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동의 범주를 다음과 같이 나열했다.[57]해당 범주 |
---|
집단 따돌림 또는 사이버 폭력의 피해 아동 |
여성 할례 또는 강제 결혼의 피해 아동 |
방임 또는 학대 피해 아동 |
성적 학대/착취 피해 아동 |
인신매매 피해 아동 |
양육권 분쟁(부모에 의한 아동 유괴 포함)의 영향을 받는 아동 |
소수 민족 집단(예: 로마)에 속하는 아동 |
남겨진 아동 (일자리를 찾아 다른 EU 국가로 이주한 부모에 의해) |
이주 상황에 놓인 아동 |
사법 절차 진행 중인 아동 |
빈곤 상황에 있거나 빈곤 위험에 처한 아동 |
경찰 구금 또는 유치 중인 아동 |
수감 또는 구금된 부모의 아동 |
장애 아동 |
부모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아동/대안적 보호를 받는 아동 |
의무 교육 또는 훈련을 받지 않거나 법적 근로 연령 미만의 근로 아동 |
실종 아동(가출 아동, 유괴된 아동, 동반자 없는 실종 아동 등) |
이주 상황에 놓인 동반자 없는 아동 |
국제노동기구(ILO)는 1919년 유엔 산하에 설립되어 노동 관련 문제를 다루는 기관으로, 아동 노동 문제 또한 다룬다. 1959년 11월 20일 유엔 총회는 아동 권리 선언을 채택하고, 이후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유엔아동기금(UNICEF)은 개발도상국의 아동청소년과 그 부모들을 장기간 지원하고 있다. 2000년에는 유엔 회원국 간에 아동의 군사적 이용에 관한 협약이 체결되었으나, 그 효과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아동이라도 일반적인 범죄로 투옥될 수 있다. 이란이나 중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범죄를 저지른 아동에게 사형을 선고할 수도 있다( 미국에서는 2005년에 폐지). 소년병으로 사용되는 국가에서는 포로가 될 가능성도 있다.
3. 국제 협약 및 노력
3. 1. 국제노동기구 (ILO)
국제노동기구는 1919년 유엔 산하에 설립되어 노동 관련 문제를 다루는 기관으로, 아동 노동 문제 또한 다룬다.[17][18][19][20][21] 특히, 협약 138호와 182호를 통해 아동 노동 근절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3. 2. 유엔 아동 권리 선언 및 협약
1959년 11월 20일 유엔 총회는 아동 권리 선언을 채택했다.[61] 이후 1989년 아동 권리 협약이 채택되었다. 대한민국은 1991년 이 협약에 비준하여 아동 권리 보호를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3. 3. 유엔아동기금 (UNICEF)
유엔 아동 기금(UNICEF)은 개발도상국의 아동청소년과 그 부모들을 장기간 지원하고 있다.[61] 유엔은 2000년에 소년병을 징집하지 않는 것에 동의했으나, 이것의 진정성은 의심받고 있다.
3. 4. 기타 국제 협약
2000년 유엔 회원국들은 아동의 군사적 이용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여 소년병 징집 금지 등 아동의 군사적 이용을 막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1]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의 효과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일부에 국한되는 것으로 보인다.[2]
4. 역사
근대까지 어린이를 인격 주체로 생각하는 개념은 매우 미약했다.[64]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가 형성됨에 따라 근대 국가에서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어린이를 위치 짓게 되었고, 한편으로는 어린이를 가혹한 노동으로부터 보호하려는 시각도 생겨났다.[64]
어린이를 인격 주체로 파악하는 시초라고 여겨지는 것은 루소의 『에밀』이며 "어린이의 발견"으로 알려지게 되었다.[64] 루소의 사상은 엘렌 케이의 『아동의 세기』로 이어졌지만, 루소와 케이는 아동기가 성인기와는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고, 특히 어린이의 빈곤과 노동 착취로부터의 보호, 가정 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했다.[64]
20세기에는 두 차례의 대전이 있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후인 1924년에 제네바 선언,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59년에 아동 권리 선언이 채택되었다.[64] 더 나아가 1989년에는 아동 권리 협약이 채택되어 조약화가 실현되었다.[64]
5. 각국의 아동 복지
각국은 아동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관련 법률 및 제도를 마련하고 관련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 유럽 ===
1984년, 유럽 평의회는 유럽 인권 협약을 관할하며, 부모의 책임에 관한 권고 R(84)4를 작성했다.[62] 이 권고는 부모의 책임을, 충족해야 할 "기능" 의무와, 그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행사할 수 있는 "권한" 두 가지로 정의했다.[63] 아동 학대 및 방임은 부모(또는 기타 보호 책임자)가 아동의 이익을 목적으로 권한을 행사할 수 없는 것으로 정의한다.
영국에서는 세계 최초의 사회 복지 및 사회 보장 체계적인 법률로 여겨지는 엘리자베스 구빈법에서 일반 빈곤자 외에 아동을 보호 대상으로 삼았다.[64] 1883년에 아동 학대 방지 협회가 설립되었고, 1889년에는 아동 학대 방지법이 제정되었다.[64] 또한, 가혹한 노동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1833년에는 공장법이 성립되었다.[64]
=== 일본 ===
아동복지법에서는 아동을 "만 18세 미만의 자"로 정의하고 있다. 제도에 따라 "20세 미만의 자", "18세에 도달한 후 첫 번째 연도 말까지의 자" 등으로 아동을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 근로기준법 - 아동은 만 15세에 도달한 날 이후 첫 3월 31일이 종료될 때까지는 사용할 수 없다.
- 민법 - 혼인은 18세가 되지 않으면 할 수 없다.
- 20세 미만자의 음주 금지에 관한 법률 - 20세 미만자는 술을 마실 수 없다.
- 20세 미만자의 흡연 금지에 관한 법률 - 20세 미만자는 담배를 피울 수 없다.
- 경마법, 모터보트 경주법, 자전거 경기법 - 20세 미만의 자는 투표권을 구입하거나 양도받을 수 없다.
광역 자치 단체와 지정 도시는 아동에 관한 다양한 상담을 접수하는 아동 상담소를 설치해야 한다. 아동 상담소는 부모로부터의 육아 상담이나 아동 학대 신고 등을 접수하여 적절한 처치를 지도하거나, 상담소 내의 일시 보호소에 아동을 보호하거나, 각종 시설 및 위탁 부모에게 아동을 위탁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다.
민생위원은 민생위원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아동복지법에 의해 ''아동위원''을 겸임한다. 아동위원은 지역별 담당 구역을 가지고, 아동에 관한 상담을 접수하고, 적절한 제도를 소개하거나, 행정기관과의 연락을 수행한다.
5. 1. 유럽
1984년, 유럽 평의회는 유럽 인권 협약을 관할하며, 부모의 책임에 관한 권고 R(84)4를 작성했다.[62] 이 권고는 부모의 책임을, 충족해야 할 "기능" 의무와, 그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행사할 수 있는 "권한" 두 가지로 정의했다.[63] 아동 학대 및 방임은 부모(또는 기타 보호 책임자)가 아동의 이익을 목적으로 권한을 행사할 수 없는 것으로 정의한다.영국에서는 세계 최초의 사회 복지 및 사회 보장 체계적인 법률로 여겨지는 엘리자베스 구빈법에서 일반 빈곤자 외에 아동을 보호 대상으로 삼았다.[64] 1883년에 아동 학대 방지 협회가 설립되었고, 1889년에는 아동 학대 방지법이 제정되었다.[64] 또한, 가혹한 노동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1833년에는 공장법이 성립되었다.[64]
5. 2. 일본
아동복지법에서는 아동을 "만 18세 미만의 자"로 정의하고 있다. 제도에 따라 "20세 미만의 자", "18세에 도달한 후 첫 번째 연도 말까지의 자" 등으로 아동을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근로기준법 - 아동은 만 15세에 도달한 날 이후 첫 3월 31일이 종료될 때까지는 사용할 수 없다.
- 민법 - 혼인은 18세가 되지 않으면 할 수 없다.
- 20세 미만자의 음주 금지에 관한 법률 - 20세 미만자는 술을 마실 수 없다.
- 20세 미만자의 흡연 금지에 관한 법률 - 20세 미만자는 담배를 피울 수 없다.
- 경마법, 모터보트 경주법, 자전거 경기법 - 20세 미만의 자는 투표권을 구입하거나 양도받을 수 없다.
광역 자치 단체와 지정 도시는 아동에 관한 다양한 상담을 접수하는 아동 상담소를 설치해야 한다. 아동 상담소는 부모로부터의 육아 상담이나 아동 학대 신고 등을 접수하여 적절한 처치를 지도하거나, 상담소 내의 일시 보호소에 아동을 보호하거나, 각종 시설 및 위탁 부모에게 아동을 위탁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다.
민생위원은 민생위원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아동복지법에 의해 ''아동위원''을 겸임한다. 아동위원은 지역별 담당 구역을 가지고, 아동에 관한 상담을 접수하고, 적절한 제도를 소개하거나, 행정기관과의 연락을 수행한다.
참조
[1]
논문
Child maltreatment reports and Child Protection Service responses during COVID-19: Knowledge exchange among Australia, Brazil, Canada, Colombia, Germany, Israel, and South Africa
2021-06
[2]
논문
Medical dimensions of child abuse and neglect
2013-07
[3]
논문
Protecting children from abuse: a neglected but crucial priority for the international child health agenda
2013-11-01
[4]
논문
After Safety, What is the Goal of Child Welfare Services: Permanency, Family Continuity or Social Benefit?
1999-10
[5]
서적
Child Custody & Domestic Violence: A Call for Safety and Accountability
SAGE Publications, Inc.
2003
[6]
논문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and UNAIDS report on progress since the Dublin Declaration
2008-09-11
[7]
논문
Do good intentions beget good policy? A review of child protection policies to address intimate partner violence
2007-12
[8]
논문
Liberty and Respect in Child Protection
2004-01-01
[9]
논문
Adapting a Systems Approach to Child Protection in a Cultural Context: Key Concepts and Considerations
2010
[10]
논문
Toward a general model for child welfare and protection services: A meta-evaluation of international experiences regarding the adoption of the Framework for the Assessment of Children in Need and Their Families (FACNF)
2010-07-01
[11]
논문
Australia's Children 'Safe and Well'?1 Collaborating with Purpose Across Commonwealth Family Relationship and State Child Protection Systems: Australia's Children 'Safe and Well'
2011-03
[12]
논문
Adapting a Systems Approach to Child Protection in a Cultural Context: Key Concepts and Considerations
2010
[13]
논문
Miseducating children about their rights
http://journals.sage[...]
2010-07
[14]
웹사이트
Child protection
https://www.unicef.o[...]
2023-03-18
[15]
웹사이트
Economic and Social Council
https://www.unicef.o[...]
2018-01-23
[16]
간행물
Protecting Children from Violence: Historical Roots and Emerging Trends
Psychology Press
2010-09-13
[17]
논문
The economics of child labour: A framework for measurement
2000-09
[18]
논문
Child labour: parameters, developmental implications, causes and consequences
2013-06
[19]
간행물
UNICEF: Engaging Stakeholders on Children's Rights
Brill {{!}} Nijhoff
2017-01-01
[20]
논문
Workers' Playtime? Child Labour at the Extremes of the Sporting Spectrum
2004-09
[21]
논문
"Child Maltreatment" 2014 Best Article Award
2015-07-13
[22]
간행물
The Structural Framework for Corporate Obligations in the Context of Human Righ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11-28
[23]
간행물
2 The Varying Requirements and Pathways for Completing High School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12-31
[24]
논문
Young Soldiers: Why They Choose to Fight
2005
[25]
웹사이트
Save the Children's Definition of Child Protection
https://resourcecent[...]
2007
[26]
웹사이트
Global Estimates of Child Labour, Results and Trends, 2012–2016
http://www.ilo.org/w[...]
2017
[27]
웹사이트
10 U.S. Code § 919b – Art. 119b. Child endangerment
https://uscode.house[...]
2016-12-23
[28]
논문
"Reformers, Patrons and Philanthropists: The Cowper-Temples and High Politics in Victorian England, by James Gregory"
2011
[29]
논문
The Dark Figure of Infanticide in England and Wales
2006-07
[30]
논문
Chasing spirits: Clarifying the spirit child phenomenon and infanticide in Northern Ghana
2010-08
[31]
서적
One Quarter of Humanity
null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06-30
[32]
논문
"Not Worth the Rearing": The Causes of Infant Exposure in Ancient Greece
1985
[33]
서적
The Massacre of the Innocents
null
2015-08-27
[34]
논문
Domestic violence and substance abuse
1998-12
[35]
논문
Violence against women
2005-10-01
[36]
간행물
7. Learning about Participation from Gender Relations of Female Infanticide
Practical Action Publishing
1998-01
[37]
서적
The Next Frontier
2009-05-01
[38]
논문
Foreign Companies and Other Corporations
1912-11
[39]
서적
Crime and Punishment in Islamic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2-13
[40]
논문
Capital Punishment
2001-07
[41]
논문
"Children in the Global Sex Trade''. By Julia O'Connell Davidson. Cambridge: Polity Press, 2005. Pp. viii+178. $62.95 (cloth); $24.95 (paper)."
2007-07
[42]
논문
A 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Awareness and Cause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Nigeria: A Survey of Agege, Lagos State
2013-01-28
[43]
서적
Reproduction and Society: Interdisciplinary Readings
2014-09-04
[44]
간행물
Infanticide by female mammals: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social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11-02
[45]
논문
Does a legal ban on sex-selective abortions improve child sex ratios? Evidence from a policy change in India
2013-07
[46]
논문
On the Comparative Study of Corruption
2005-05-26
[47]
논문
Settling Accounts: The Duty to Prosecute Human Rights Violations of a Prior Regime
https://www.jstor.or[...]
1991
[48]
논문
WHO/CONRAD Technical Consultation on Nonoxynol-9,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9–10 October 2001: Summary Report
2002-01
[49]
간행물
Professional abuse of power: discreditation or a lowering of productivity?
Policy Press
2020-02-05
[50]
웹사이트
Council of Europe European Committee on Legal Co-operation – European Committee on Legal Co-operation – www.coe.int
https://www.coe.int/[...]
2023-06-13
[51]
웹사이트
Children Act 1989
http://www.legislati[...]
2023-06-13
[52]
웹사이트
ERIC – 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https://eric.ed.gov/
2023-03-23
[53]
웹사이트
Home – Child Welfare Information Gateway
https://www.childwel[...]
2023-03-23
[54]
웹사이트
Child Protection Integrated Flood Response
https://shifafoundat[...]
2023-06-15
[55]
웹사이트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https://www.ncbi.nlm[...]
2023-03-23
[56]
웹사이트
EUSurvey – Survey unavailable
https://ec.europa.eu[...]
2023-06-13
[57]
웹사이트
EUSurvey – Survey unavailable
https://ec.europa.eu[...]
2023-06-13
[58]
뉴스
Child Protection Services
https://www.savethec[...]
2023-06-13
[59]
웹사이트
Cookies Required
https://library.nspc[...]
2023-06-13
[60]
웹사이트
「子ども家庭福祉」概念の検討
https://archives.buk[...]
佛教大学大学院紀要 社会福祉学研究科篇37号
2020-12-24
[61]
웹사이트
Global Estimates of Child Labour, RESULTS AND TRENDS, 2012-2016
http://www.ilo.org/w[...]
2018-01-23
[62]
문서
Recommendation R(84) 4 on Parental Responsibilities
http://www.coe.int/t[...]
[63]
문서
Children Act 1989
http://www.legislati[...]
[64]
웹사이트
子ども家庭福祉と子ども中心主義〜政策視点と支援視点からみた子ども〜
https://www.js-cs.jp[...]
子ども社会研究21号
2020-12-24
[65]
저널
자립준비청년들의 각자도생
https://www.khan.co.[...]
2021-11-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미혼모·한부모 아이의 행복이 저출생 대책이다 [6411의 목소리]
서울시, 주거 취약계층 아동 168가구에 7억 5천만 원 지원
새마을금고재단, 전국 사회복지시설에 차량 지원
제주도 ‘유니세프 아동 친화 도시’ 인증
인천시, '확장형 시간제 보육' 시범 운영…주말·공휴일 오전 9시~오후 6시 가능
“아이 맡기고 병원·운동 다녀오세요” 서울 시간제어린이집 전역 확대
아동 화장실 개선 위한 기부 유한킴벌리 해피클린 캠페인
유한킴벌리, 취약계층 아동에게 위생용품 3년째 기부
"더 나은 사회"…초록우산 '기업 사회공헌' 포럼
2년 이용자 1200명, 부모들 ‘엄지척’ 복지정책···광주 동구 ‘긴급 병원동행’ 눈길
세븐틴 에스쿱스, 생일 맞아 5000만 원 기부…"받은 사랑을 사회에 돌려드리고파"
폭염 속 두살배기 사흘간 방치한 20대…"남친 만나러 가" 진술
얼굴 덮은 까만 점, 마음에는 그늘…그래도 엄마 위해 웃어요
'입양 비극' 마침표 찍나…19일부터 민간→국가 입양 체계로 개편
한국남부발전, 위기임산부 위한 건강 먹거리 지원 사업 시행
‘가족이 되어줄게’···광주 동구 보호시설 아동에 ‘가족 맺기’
실종된 딸 해외입양 모르고 44년 만에 찾은 부모, 국가배상 소송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강선우 지명…“사회적 약자 권익 힘써 와”
티앤씨재단, 복지시설 아동들에게 식사지원···밥먹차 푸드트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